카카오페이지 플랫폼의 후진성
2013년에 카카오페이지를 론칭 했다고 나와있지만 나는 최근에서야 카카오페이지를 접했다. 여기서 연재하는 웹소설들이 재미있다고 누가 권해서 읽어본게 계기였다. 재밌게 여러 웹소설과 만화를 읽었다.
어느날 아르테미스라는 책을 카카오페이지에서 연재한다는 광고를 보게 되었다. 이 소설은 내가 재미있게 읽은 소설 마션의 작가 앤디 위어가 쓴 최신작으로, 매일 일정 페이지를 공개하는 기존 방식대로 연재를 시작했다. 호기심을 가지고 아르테미스를 읽기 시작했지만, 이내 카카오페이지에서 책을 읽는다는 것은 많은 불편함이 따른다는 것을 느꼈다.
나는 예스24, 리디북스, 알라딘 세 인터넷 서점의 e북을 이용한다. 한곳에서 구입했다면 관리가 쉬웠겠지만 특정 사이트에서만 파는 책도 있었고, 할인도 제각각이라 저렴한 곳에서 사느라 이렇게 돼버렸다. 하지만 사용하는데 큰 불편함이 없다. UI와 기능이 비슷하기 때문이다. 카카오페이지에서 책을 읽으려 하니 불편하다는 것도 이 때문이다. 카카오페이지는 독자가 글을 편하게 읽을 수 있게 해주는 UI가 전무하다. 카카오페이지 독점 작품을 읽을 때는 말 그대로 독점이라 카카오에서만 볼 수 있기에 그러려니 하고 반포기 심정으로 이용했던 게 큰 것 같다. 하지만 다른 플랫폼에서도 서비스하고 있는 같은 콘텐츠라면 얘기가 달라진다. 비교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아래는 왜 내가 카카오페이지가 불편한 지 단점을 나열해 보고자 한다.
독서화면Permalink
![]() |
![]() |
---|---|
왼쪽은 알라딘, 오른쪽은 카카오페이지 |
일단 알라딘은 검정색 바탕에 흰 글씨, 카카오는 흰바탕에 검은색 글이 올라와 있다. 그리고 위아래 검은색 여백이 있다. 알라딘 뷰어 화면의 검정바탕과 흰 글씨는 내가 설정한 것이다.
나는 검정색 화면에 큰 흰 글씨로 읽는 것을 선호한다. 예스24, 알라딘, 리디북스 등 대부분의 전자책 앱은 배경과 글자색, 글자 크기, 폰트 등을 자유자재로 바꿔 읽는 것이 가능하다.
![]() |
---|
아이폰 알라딘 ebook 설정화면 |
첫 번째 사진 아래쪽 헤드폰 모양을 클릭하면 책을 읽어준다. 글꼴, 크기, 간격, 여백, 스크롤 방향, 배경색, 모든 것을 변경할 수 있다.
![]() |
![]() |
---|---|
아이폰 예스24 ebook 설정화면 |
예스24 이북도 디자인만 다를 뿐 알라딘과 거의 같은 설정을 제공한다.
하지만 카카오페이지는? 모든게 불가능하다. 변경은 커녕 고정된 2:3 포맷의 흰바탕에 검은색 글이 올라와 있다. 2:3포맷이 아닌 휴대전화 화면에는 위아래 검은색 여백이 생긴다. 요즘 스마트폰 화면이 길게 나오는 추세라 2:3포맷의 이미지가 띄워지면 삼분의 이는 여백이 생긴다.
![]() |
---|
이 화면이 고정이라고? 실화냐? |
카카오페이지는 이미지 형식으로 저장돼 있어 배경색, 글자 등을 바꿀수 없다. 그나마 위아래, 좌우 스크롤 방식만 선택할 수 있다. 사진 넘기는 것 처럼. 대형 전자책 서점을 이미 이용하고 있던 사람에게는 너무나 불편하기 짝이 없는 뷰어 화면이다.
이뿐만이 아니다.
![]() |
---|
잘 모르는 단어를 탭하면 기능이 뜬다 |
![]() |
---|
핏케언이란 단어를 나중에 체크할 수 있게 형광펜 표시했다 |
![]() |
---|
아니면 아예 사전으로 들어가 위키피디아 검색 내용을 볼 수 있다 |
![]() |
---|
네이버 사전도 가능 |
![]() |
---|
대부분 이북 앱에서 같은 기능을 제공한다 |
![]() |
---|
리디북스는 국어사전, 한영사전까지 검색 가능 |
예스24, 리디북스, 알라딘 등 인터넷 서점과 카카오페이지는 감히 비교하기가 민망할 정도로 퀄리티가 차이난다. 그렇다고 가격이 저렴하면 용서가 되겠지만 가격마저
![]() |
![]() |
![]() |
3곳 다 9천4백5십 원이다. 카카오페이지는
![]() |
![]() |
총 38편으로 나뉘어 있는데 앞 3편은 무료라 35편만 결제하면 된다. 1만5백 원이다. 위 인터넷 서점의 할인 전 가격과 같지만 카카오페이지는 할인이 없다. 시스템은 안좋은데 오히려 책값은 더 비싼 셈이다.
위와 같은 내용을 보면 카카오페이지는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e북 리더’와 거리가 있다. 독서를 위한 플랫폼이라기 보다 광고 기반 엔터테인먼트 플랫폼이라고 생각된다. 최근 영화, 드라마 콘텐츠도 제공하는데 TV나 컴퓨터 등 다른 기기에서 사용할 수 없고 오로지 스마트폰에서만 이용 가능하다. 그래서 화질도 안좋다.
![]() |
![]() |
무료 대여권으로 독자를 끌어들이고, 다단계(?) 처럼 다른 사람에게 추천하고, 앱 설치해서 2-300캐시 벌고, 개인정보 팔아 큰 돈(?) 벌어 그걸로 콘텐츠 이용하라는 것이다.
비판하는 것이 아니다. 나도 웹소설 하나에 빠져 보험회사, 증권회사에 내 개인정보 숫하게 팔아서 그 캐시로 열심히 읽었다. 카카오페이지는 그렇게 이용하라고 만든 플랫폼이고 충분히 성공을 거뒀다고 생각한다.
단, 캐시로 책 볼게 아니라 돈 주고 콘텐츠를 구입할 예정이라면 다른 플랫폼을 이용하는 게 같은 콘텐츠라도 질 높은 화질과 훨씬 품질 좋은 서비스(앱)를 받을 수 있다는 점. 명심하길.
댓글남기기